Environmental microbiology Lab
위치
생명과학관 8534호실
연락처
구성원
- 지도교수 : 최성찬
- 연구원
- 남궁호연(석사4기)
- 이재희 (석사4기)
- 특수연구 학부생 6명
실험실 소개
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분포와 기능을 연구하고 이를 환경오염물질의 정화, 에너지 생산, 유용물질 생산 및 회수 등에 활용하는 학문이다. (미생물 : 수십µm 이하의 작은 생물. 바이러스, 세균, 진균, 미세조류, 원생동물 등) 본 실험실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환경오염을 해결하는 실험들을 주로 수행하고 있다. 그 예로 Biofilter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용매의 처리 방법 개발, 크롬과 같은 중금속에 독성 저감 방법 개발 및 Chloro-, Nitro- 화합물의 분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. 이러한 기술들을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Bioremediation technique과 결합시켜 오염된 환경의 복구에 적용하는 것이 본 실험실에서 주로 수행하는 연구테마이다.
연구분야
물의 질소제거용 고효율 탈질세균의 탐색 및 상품화 수돗물의 생물학적 안정성 인자 개발 및 민감도 분석
연구주제1
- 수돗물의 생물학적 안정성 → 수도관 오염의 원인인 생물막 형성의 규명과 제어 방안 연구
연구주제2
-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독성 가스 물질의 제거 연구
연구주제3
- 산성광산 배수의 생물학적 정화 연구
연구주제4
- 다양한 금속(수은, 크롬, 망간)과 미생물의 상호작용 연구
연구논문
- Microcystis aeruginosa에 대한 hydrotrope-combined copper의 생장 억제 및 독성평가[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, SCI급, 공동(교신).2015]
- Growth kineitcs and chlorine resistance of heter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young biofilms formed on a model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[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, SCI급, 공동(교신), 2015]
- Inhibitory effects of 4-hydroxy-2,5-dimethyl-3(2H)-furanone (HDMF) on acyl-homoserine lactone-mediated virulence factor production and biofilm formation in Pseudomonas aeruginosa PAO1 [Journal of Microbiology, SCI급, 공동(제1), 2014]
- 기체상-생물막 여과 공법의 BTX제거 공정 해석을 위한 1차원 동적 수치모델 개발[대한환경공학회지,KCI등재, 공동(참여), 2015]
- Sorption behavior of heavy metals on poorly crystalline manganese oxides:roles of water condition and light[Environmental Science- Processes & Impacts, SCI급, 공동(참여), 2014]
- Characterization of quorum-quenching bacteria isolated from biofouled membrance used in reverse osmosis process[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, SCI급, 공동(참여), 2014]
특허
구분 | 명칭 | 출원/등록일 | 출원/등록번호 |
---|---|---|---|
등록 | 음용수 분배 시스템에서 클로라이드와 클로라민을 조합한 소독방법 | 2015-12-02 | 10-1575656 |
등록 | 형광기질 혼합물을 이용하여 수도관 내의 생물막을 정량하는 방법 | 2014-11-25 | 10-1467164 |
출원 | 퓨라니올을 함유하는 생물막 형성 저해제 | 2014-02-26 | 10-2014-0125522 |
